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생활

엑셀 초보 기능 : 병합 단축키, 여러 범위 병합 한번에 하기

by 헤이엠다이어리 2024. 4. 2.
반응형

엑셀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병합. 특히 표를 만들 때는 하나의 표에 정말 많은 셀을 병합하곤 하는데, 가끔은 병합해야 하는 단위별로 병합을 하나씩 하는 게 귀찮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은 병합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병합 단축키와 다른 범위의 병합들을 한 번에 처리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려고 한다.

 

병합 기능

병합은 여러 셀을 하나의 셀로 만드는 것으로,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방법 1. 상단 메뉴바 병합 사용

병합할 셀 드래그 > 상단 메뉴바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클릭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범위만 병합해야 하는 경우, 이 방법으로 단축키를 만들 필요 없이 제일 쉽고 빠르게 병합할 수 있다. 빨간색 동그라미 1번 2번을 따라 클릭하면 초록색 별표와 같은 병합된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방법 2. 단축키 사용하기

평소에도 병합을 자주 사용한다면 아래 방법에 따라 병합 단축키를 미리 만들어두는 것도 편하다. 단축키로 설정해 두면 마우스 클릭 없이 키보드로만 빠르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준비되기 때문이다.

파일 > 왼쪽 하단 옵션 > 엑셀 옵션 창 :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선택 >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선택 > 추가 > 확인

 

위 순서에 따라 엑셀 옵션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서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을 추가하면 아래 사진 가장 왼쪽 빨간색 동그라미 1번과 같이 엑셀 상단에 기존에 없던 병합 표시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추가된 병합을 단축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Alt를 눌러 단축키 몇 번인지 확인해 보자.

범위 드래그 > Alt + 단축번호

위 예시 사진에서는 빨간색 동그라미 2번과 같이 4번으로 단축번호가 정해졌기 때문에 범위 드래그 후 Alt+4를 눌러주는 것으로 병합이 완료됐다.

 

이 단축번호의 경우 각자의 엑셀 설정값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엑셀 아무 곳을 선택 후 Alt를 눌러 단축키&번호를 한번 확인하고 사용하면 된다.

 

응용 : 다양한 범위 한번에 병합

위에서 메뉴 바를 통해 병합하는 방법과 단축키를 추가해 병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엑셀 작업을 하다 보면 다양하게 분리되어 있는 각각의 범위를 각각 병합해야 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 이럴 때 병합할 범위를 하나씩 잡고 병합을 시킬 수도 있지만, 각각 다른 범위라도 한 번에 병합하는 방법도 있다.

드래그할 범위 드래그 > Ctrl 누른 채 > 각각의 드래그할 범위 드래그 > 메뉴바 병합 버튼 or 병합 단축키

특히나 표를 만들 때 다양한 범위에 병합이 들어가곤 하는데, 이럴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능이다. 빨간색 동그라미 1번과 같이 하나의 병합 구역을 먼저 드래그한 뒤 Ctrl을 누른 채로 빨간색 동그라미 2번과 같이 나머지 병합 구역들도 각각 드래그로 잡아준다.

 

초록색 동그라미 별표와 같은 결괏값을 얻기 위해 총 6번의 드래그를 했다. 6번의 드래그 후 한 번의 병합 기능으로 총 6개의 병합이 빠르게 완성됐다. 엑셀에서 정말 유용하게 사용되는 각각의 범위 드래그 한 번에 하기 기능! 꼭 숙지해 두고 효율적이게 사용하자.


함께 보면 좋은 글

엑셀 표 깔끔하게 만들기

 

엑셀 초보 기능 : 엑셀 표 만들기, 표 고정, 표 이쁘게 만들기 정렬하기, 단축키, 엑셀 표 서식

업무하다 보면 여러 가지 툴 중에 엑셀을 정말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생각보다 엑셀 표 만들기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간단하게 엑셀 표 만들기와 깔끔하게 보이는 엑셀 표 만드는 방법

heympost.com

엑셀 틀고정 단축키, 가로/세로 고정 및 인쇄까지 알아보기

 

엑셀 틀고정 셀고정 가로 세로 고정 열, 행 고정, 틀고정 단축키, 틀고정 후 모든 페이지 반복 인

알고 보면 너무 편한 기능인데, 사람들이 잘 이용하지 않는 엑셀 기능 중에 틀고정이 라고 있다. 오늘은 틀 고정의 사용방법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틀 고정 단축키를 알아보려고 한다. 틀 고

heympost.com

반응형

댓글